링크

'링크'는 웹문서가 다른 문서와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입니다. 링크를 클릭하면 링크가 연결된 곳으로 이동합니다.

링크는 <a>태그를 사용합니다. 텍스트와 사용하면 텍스트링크가 되고, 이미지와 사용하면 이미지 링크가 됩니다.

<a href="링크할주소" [속성="값"]>텍스트</a>
<a href="링크할주소" [속성="값"]><img src="이미지경로"></a>

<a>태그 안에 사용할 주요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속성 설명
href 링크한 문서나 사이트이 주소을 입력합니다.
target 링크한 내용이 표시될 위치(현재창 또는 새 창 등)를 지정합니다.
download 링크한 내용을 다운로드 합니다.
rel 현재 문서와 링크한 문서의 관계를 알려줍니다.
hreflang 링크한 문서의 언어를 지정합니다.
type 링크한 문서의 파일 유형을 알려줍니다.

링크의 밑줄과 글자색 바꾸기

링크는 기본적으로 파란색으로 표시됩니다. 또한 한번 클릭한 링크는 보라색으로, 링크를 활성화시키면 빨간색으로 표시됩니다.
하지만 요즘은 디자인요소가 많아서 링크를 디자인에 맞게 스타일을 많이 수정 합니다.

<a href="#">기본링크</a>

기본링크

스타일을 하는 방법은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인라인 방식으로 수정을 해보겠습니다. 링크의 밑줄을 주고, 색상을 검은색으로 변경해보겠습니다.

<a href="#" style="text-decoration: underline; color:black;">스타일 수정된 링크</a>

스타일 수정된 링크

새탭에서 링크 열기

링크를 클릭하면 기본적으로 해당링크로 이동을 합니다. 이동하는 방식을 target속성을 이용하여 여러가지로 방식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속성 설명
_blank 링크 내용이 새 창이나 새 탭으로 열립니다.
_self target 속성의 기본 값으로 링크가 있는 화면에서 열립니다.
_parent 프레임을 사용했을때 링크 내용을 부모 프레임에 표시합니다.
_top 프레임을 사용했을때 프레임에서 벗어나 링크 내용을 전체화면에 표시합니다.
<a href="링크주소" target="_blank">새탭으로 열리는 링크</a>

한 페이지 안에서 점프하는 앵커 만들기

링크는 기본적으로 다른문서로 이동하지만 한 문서에서도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앵커(anchor)라고 불리는 이 기능은 페이지가 긴 웹문서에서 특정요소를 클릭하면 그 위치로 한번에 이동합니다.

앵커를 사용하려면 이동하고 싶은 곳에 id속성을 이용해 이름을 만듭니다. 만약 여러군데이면 각각 다른이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a>태그에 href속성에 #id형식으로 입력하면 해당 id로 이동을 합니다.

<태그 id="앵커이름">도착지</태그>
...
...
<a href="#앵커이름">...</a>

예제문서

이미지

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파일 형식은 gif, jpg/jpeg, png` 등입니다.

웹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할때는 <img>태그를 사용합니다. 이때 src 속성을 사용해 이미지 경로를 알려주어야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습니다.

<img src="이미지경로" [속성="값"]>
경로 이해하기

이미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경로를 표시해야하는데 여러 상황에 맞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현재문서와 같은 폴더 또는 위치에 있다고 한다면 파일명만 적으면 됩니다. 또는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 <img src="./img.jpg">

현재 문서보다 하위에 있다면 하위폴더명을 적고 이미지명을 적습니다.

예: <img src="./하위폴더명/img.jpg">

현재 문서보다 상위에 있다면 ../ 를 사용하고 두단계 상위라면 ../../ 를 두번사용합니다.

현재 문서보다 상위에 있는 예: <img src="../img.jpg">

이 경로는 이미지경로와 더불어 모든 파일에 적용됩니다. 예를들어 css파일경로, javascript파일경로 등등...

이처럼 ../를 사용하는것을 상대경로라고 합니다. 상대경로는 폴더의 위치에 따라서 변할수도 있습니다.
변하지 않는 경로가 있는데 이것을 절대경로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http://abc.com/images/img.jpg 처럼 완전한 주소를 말합니다.

이미지를 설명해주는 대체 텍스트

alt 속성은 이미지를 설명하는 대체 텍스트를 삽입할 때 사용합니다.
대체텍스트는 웹문서에 삽입한 이미지는 시각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은 그 내용을 알 수 없습니다.
웹문서를 읽어주는 화면 낭독기도 문서 상의 텍스트만 읽어주기 때문에 이미지를 만나면 그대로 건너뜁니다.
하지만 <img> 태그의 alt 속성을 이용하면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넣을 수 있고, 그 속성의 내용을 화면 낭독기가 읽어줍니다.
하지만 불릿같은 이미지나 의미가 없이 시각적으로 꾸미기위한 이미지는 alt값을 비워둡니다. 예: alt=""